고유가 고통분담 외면하는 정유사

고유가 고통분담 외면하는 정유사

입력 2012-02-27 00:00
업데이트 2012-02-27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유 4사, 마진 늘어 작년 7조 영업익…유가 상승분 소비자에 고스란히 전가

보통휘발유 가격이 ℓ당 1825.35원(전국 평균)이던 지난해 1월 정부는 정유사들에 원가 공개를 요구하면서 ℓ당 ‘100원 인하’를 강하게 압박했다. 기획재정부는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유통과 원가 구조의 ‘숨은 마진’ 뒤지기에 나섰다. 최중경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은 기름값 원가를 직접 계산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범정부 차원의 압박에 정유사와 주유소는 마침내 손을 들었고, 4월 7일부터 3개월 동안 한시적으로 기름값을 100원 내렸다. 보통휘발유값은 26일 ℓ당 1999.76원(오후 9시 기준)으로 1년 1개월 전에 비해 170원 넘게 올랐고, 2000원 돌파는 시간문제다. 보통휘발유의 서울 시내 최고가는 이미 2365원을 기록하고 있다.

지식경제부 자료에 따르면 정유사·주유소의 휘발유 마진은 2010년 월평균 ℓ당 152원이었지만 정유사들의 ‘100원 인하 조치’가 끝난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간 월평균 158원으로 6원 증가했다. 정유사와 주유소의 마진이 갈수록 늘어난다는 얘기다.

특히 ‘정유 4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7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4개사의 2010년 대비 지난해 영업이익 상승률은 51~117%다. 그럼에도 정유사와 주유소들이 ‘보통휘발유 2000원 시대’를 맞아 100원을 인하하려는 움직임은 정부와 업체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국제 유가 상승분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몫이 되고 있다.

서울신문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기름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실내등유의 정유사 세전 공급가가 ℓ당 143.3원 증가할 때 소비자가격은 ℓ당 182원 올랐고, 고급휘발유의 세전 공급가가 117.5원 증가할 때 소비자가격은 176원이나 급등했다.

자동차용 경유는 세전 공급가가 160.2원 오를 때 소비자가격이 183.4원 상승했다.

휘발유 가격의 정유사 세전 공급가가 ℓ당 123.3원 늘어날 때 소비자가격은 129.7원 올랐다.

특히 서민 연료로 불리는 실내등유는 정부가 휘발유 가격 단속에 집중하는 동안 2년 반 만에 최고치로 뛰었다.

지난 1월 실내등유 가격은 ℓ당 1378.07원으로 지난해 1월(1196.03)원에 비해 15.2% 급등했다. 2008년 8월 1437.43원 이후 최고치다.

고유가 시대에 서민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것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두바이유 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으면 유류세 인하를 검토할 수 있다.”면서 “130달러를 초과한다고 해도 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검토한다는 것이지 곧바로 유류세를 내리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홍희경·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2-02-27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