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업 중개업소가 옷집·카페로… 불황의 그늘

성업 중개업소가 옷집·카페로… 불황의 그늘

입력 2012-02-23 00:00
업데이트 2012-02-23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적자 쌓여 서울 5686곳 접어… 342곳은 휴업

#사례1 “그동안 이곳에서 중개업소 4개가 얼굴을 빤히 쳐다보며 영업을 했는데 최근 3곳이 옷가게로 바뀌었어요.”(서울에서도 전셋집 많기로 소문난 노원구 상계주공 7단지 인근)

#사례2 “성수기 때에는 4~5개 중개업소가 성업 중이었는데 최근 두 곳이 문을 닫았어요. 한 곳은 공실로 남아 있고, 한 곳은 카페로 변했어요.”(학군이 좋아 집값과 전셋값이 강세였던 서울 양천구 목동 8단지 인근)

이미지 확대


●운영비 건지는 업소 절반도 안돼

주택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부동산 중개업소들이 속속 문을 닫고 있다. 과거에는 중개업소가 휴·폐업을 하더라도 신규 업소가 더 늘어나 전체 업소 수는 증가세였지만 최근 들어서는 문 닫는 곳이 더 많아지는 추세다. 이 같은 현상은 주택경기 침체의 골이 깊은 서울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22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등에 따르면 2011년 말 현재 서울의 중개업소는 모두 2만 3368개로 연초에 비해 600여개가 줄어들었다.

서울에서만 2011년 한 해 6028개 중개업소가 휴·폐업(폐업 5686곳, 휴업 342곳)을 한 반면 5068곳이 새로 문을 열었다. 적자로 하루에 17개꼴로 중개업소가 문들 닫지만 14개는 새로 문을 여는 셈이다.

부동산 중개업계에서는 서울의 중개업소 가운데 중개 수수료로 사무실 운영비를 조달할 수 있는 곳이 절반도 안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는 일주일에 전세 거래 한 건도 성사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노원구에서 중개업을 하다가 폐업을 한 A씨는 “사무실 유지 비용이 한 달에 최소한 350만원 정도 필요한데 거래가 없어 이조차 조달하기 힘들어 폐업했다.”고 말했다.

●공동중개도 드물어 폐업 속출

그는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 200만원의 17㎡ 사무실을 빌려 창업을 했다. 월 유지비는 350만~400만원. 하지만 사무실 유지가 쉽지 않았다. 매매는 고사하고 전세라도 최소한 한 달에 10여건은 중개(공동중개)해야 수수료로 300만~400만원을 챙기는데 이마저 가뭄에 콩나듯 했다. 결국 A씨가 임대료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폐업하자 그 집은 옷가게로 바뀌었다.

요즘 목동 등지에서는 중개업소 자리에 카페가 들어서는 경우도 적지 않다.

옷가게나 카페는 중개업소와 비슷한 규모의 공간이면 충분히 창업이 가능하고, 오른 임대료를 감내하기도 중개업보다는 이들 업종이 낫기 때문이다.

혹독한 불황에도 불구하고 중개업에 시장경제의 원리가 적용되지 않고, 끊임없이 중개업소 창업이 이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공인중개사 자격증 소지자가 31만여명으로 과포화 상태인데도 매년 1만 2000~1만 5000명의 공인중개사가 새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창업 3~5개월만에 폐업 되풀이

이들은 11월쯤 합격증을 받으면 12월에 실무 교육을 받은 뒤 그 다음 해 1~5월 우후죽순처럼 창업을 한다.

중개업계 관계자는 “1~3월 창업한 뒤 3~5개월 영업을 하다가 폐업하는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다.”면서 “일부 중개업소는 적자를 감수하면서 영업을 하다가 신규 공인중개사가 배출되면 그때 권리금을 받고 판다.”고 말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중개업소 하나 내는 데 권리금을 포함해 최소한 1억원이 드는데 권리금을 받지 못하고 폐업하게 되면 이 돈을 그냥 날리는 것”이라면서 “공인중개사 합격자 쿼터를 축소하고, 합격자들도 무분별한 창업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12-02-23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