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받는 닭고기

외면받는 닭고기

입력 2012-02-13 00:00
업데이트 2012-02-1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우·돼지고기에 밀려나 공급↑·소비↓… 값 하락

생닭이 한우와 돼지고기에 밀려 소비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양계 농가의 수급조절 실패로 공급은 늘었지만 오히려 소비가 급감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12일 한국계육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2∼3월 1㎏에 2680원까지 올랐던 생닭(大) 도매가격은 현재 30% 이상 떨어진 1680∼1780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형마트인 이마트에서도 현재 생닭 1㎏ 가격은 6980원으로 지난해 8800원보다 20% 이상 내렸다. 생닭을 포함한 계육 가격도 지난해 4분기 이후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양계 공급이 크게 늘어난 데다 닭고기 수입량도 증가했지만 한우와 돼지고기에 밀려 소비가 급감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양계 농가들은 지난해 초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출하량이 줄자 병아리 입식 수를 늘렸다. 조류인플루엔자가 잠잠해진 지난해 3월 이후 12월까지 병아리 입식 수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6.7%나 증가했다.

지난해 닭고기 수입량도 10만 8639t으로 2010년 9만 8984t보다 9.8% 늘었다. 그러나 소비는 이를 따라 주지 못했다. 지난 1월 이마트의 계육 매출 신장률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7% 줄었다.

이에 견줘 한우는 38.3%, 돼지고기는 7.9% 늘었다. 한우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내려가자 닭고기보다 비싸지만 종전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한우를 더 찾았기 때문이다. 돼지고기도 비교적 가격이 안정되면서 닭고기보다 상대적으로 소비가 많았다.

이 때문에 수지를 맞추지 못하게 된 양계 농가들의 시름이 깊다. 지난해 하반기 병아리 단가가 급등했을 때 입식 수를 늘린 농가는 더욱 그렇다. 지난해 초 마리당 200∼300원 하던 병아리 가격은 같은 해 8월부터 12월 중순까지 7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마트의 계육 담당 바이어는 “올 들어 양계 농가들이 병아리 입식 수를 줄이고 있지만 당분간 출하량이 수요보다 많아 육계 가격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2-02-13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