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재단설립 기자회견’ 일문일답

안철수, ‘재단설립 기자회견’ 일문일답

입력 2012-02-06 00:00
업데이트 2012-02-06 1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서울대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안철수재단’(가칭) 설립 기자회견에서 “모든 일이 우리 사회의 발전적인 변화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생각에 따라 결정됐다”며 “정치도 그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안 원장은 ‘앞으로 정치 행보가 없을 것이냐’는 질문에 “정치에 참여하고 않고가 본질이 아니라 사회 발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 게 좋을지 고민하고 살아왔다”며 “그 연장선상에서 생각해 주면 감사하겠다”고 답했다.

다음은 안 원장과의 일문일답.

--IT 기술을 활용한 기부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 계기는.

▲기부에 관심을 두고 여러 재단의 활동에 참여해왔다. 내가 IT분야 전문성이 있다 보니 해외 동향에 관심이 많았는데, 3~4년 전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등장하면서 첨단기술을 사회활동에 접목해서 많은 성과를 얻는 모델이 등장했다. 한국에서는 이런 모델이 부족했던 것 같다. 재단을 만든다면 그런 일부터 시작해서 확산시키는 일을 하고 싶었다.

--박영숙 이사장과의 인연은.

▲2004년 전후해서 어떤 포럼을 창립한다고 해 뜻에 공감해 참여한 적이 있다. 사회활동을 하다가 공식적 자리에서 몇 번 뵀다. 운영하는 포럼에서 한 번 강연한 적도 있다. 하지만 사적으로 아는 관계는 아니었다. 공적인 자리에서 말하는 것과 행동을 보아왔고, 또 많은 분이 이사장으로 추천해 부탁을 하게 됐다.

--재단이 중요한 문제에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이바지한다고 했는데 여기에 정치 문제도 포함되나.

▲그렇지는 않다. 내가 바라봤던 건 기회다. 기회 격차를 해소하는 게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다. 이런 기회 격차 해소에 조금이나마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

--중점 사업목표를 설명해 달라.

▲키바(KIVA)라는 해외 모델을 말씀드렸다. 키바는 기부 수요자가 먼저 인터넷에서 요청하면 시민들이 그걸 보고 십시일반으로 대출해주는 것이다. 수요자가 자립하고 나서 이를 갚으면 기부자는 다시 기부할 대상이 없나 찾게 된다. 국내에선 제도적 제약이 많아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또 정서상 ‘기부는 기부지 치사하게 빌려주느냐’는 정서도 있지 않느냐. 수혜자가 다시 자립하면 기부자가 되는 선순환이 되면 한국 문화에 맞을 것으로 생각했다.

--박경철 원장 등은 동참 계획이 없나.

▲박 원장은 청춘 콘서트 함께 할 때부터 계획돼 있었다. 서울 시장 건만 없었으면 9월 말께 재단을 발표할 계획이었다. (박 원장은) 당연히 참여할 것이고 다른 많은 분도 참여 의사를 밝혔다. 다 그분들 프라이버시 문제도 있고 해서 그분들이 원할 때 발표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사진 중에 윤정숙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가 눈에 띈다. 박원순 시장과 사전에 말이 있었나.

▲박 시장과 사전교감이 없었다.

--앞으로의 행보는.

▲내가 지금까지 살아온 길을 보면 알겠지만 내가 하는 모든 일이 우리 사회의 발전적인 변화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따라 결정됐다. 그런 맥락에서 우리 사회발전적인 변화에 어떤 역할을 하면 좋은 것인지 계속 생각 중이다. 정치도 그 중 하나일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와 협력사업 모델은 염두에 둔 게 있나.

▲기본적으로는 혼자 가는 재단이 아니라 다른 재단들과, 가능하다면 시민·정부 모두 참여하는 모습이 좋지 않겠나 싶다. 누구와 어떻게 더 협력할 것인가 하는 것은 이사진이 결정되면 거기서 실행에 옮길 거라고 본다.

--앞으로 정치 관련 행보는 없을 것이라고 말할 의향이 있나.

▲내가 정치 참여를 하고 안하고가 본질이 아니라고 본다. 나는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 게 좋을지 평생 끝없이 고민하고 살았던 사람이다. 그런 연장선상에서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다.

--재단을 설립하면 대권행보와 연결된다는 시각이 있는데.

▲지금까지 그런 분이 있나. 왜 연결시키는지 잘 모르겠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