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긴급 전기사용 규제 법안 도입 추진

한전, 긴급 전기사용 규제 법안 도입 추진

입력 2011-09-23 00:00
업데이트 2011-09-23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전 당시 1회 이상 정전 경험고객 753만호”비상시 실시간 수급상황 예보 시스템 구축

한국전력공사는 대규모 정전 사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와 협의해 긴급 전기사용 규제 법안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23일 밝혔다.

한전은 이날 열린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지난 15일 순환 정전 당시 1회 이상 정전을 경험했던 고객은 일반 가구를 포함, 총 753만 곳으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정전 다음날인 지난 16일 정전 규모가 총 656만 가구로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한전이 도입하려는 긴급 전기사용 규제 제도는 수요 급증 및 공급 부족 시 고객별로 자발적인 절감 목표를 설정해 전력 소비를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 전기사업법 등 관련법 개정을 통해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전 측은 설명했다.

최근 대지진으로 전력 수급에 차질을 겪은 일본은 전기사업법에 따라 정부에서 절감 목표 15%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벌금을 부과한다고 한전 관계자는 설명했다.

전력 수급 비상시 대국민 홍보를 위해서는 문자메시지(SMS), 스마트폰 애플리캐이션 등을 이용해 전력수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수급상황 단계별 예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합뉴스, KBS, YTN, 소방방재청, 경찰청 등 언론사 및 재난관리 기관에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가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도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력거래소의 계통운영 정보를 정부, 한전, 발전사 간 공유하고 상호 검증하는 다중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정전 피해 최소화를 위해 비상시 부하차단 순위를 재설정하고 정전 시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전력공급 유지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부하차단 시 전력거래소에서 한전 사업본부 뿐 아니라 본사에도 이를 동시에 통보하도록 하는 등 부하차단 매뉴얼도 정비할 방침이다.

이밖에 전력수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현재 산업용 고객 위주인 부하관리 대상을 일반용 고객까지 확대하고 부하관리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는 한편, 피크요금제 도입 등 요금제도 개선, 한전·전력거래소·발전사 전문가 그룹 태스크포스 운영, 전력제어시스템 해킹 방지 강화 등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