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 이사장 국감 ‘중대발언’ 번복해 빈축

전력거래소 이사장 국감 ‘중대발언’ 번복해 빈축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1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비전력 100만 ㎾ 이하 ‘심각상황’ 예전에도 있었다” 발언



전력거래소 염명천 이사장의 말 바꾸기가 빈축을 사고 있다.

염 이사장은 19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의 지식경제부 국정감사에서 실질예비전력이 100만㎾ 이하로 떨어진 적이 전에도 자주 있었느냐는 질의에 “몇 차례 있었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 말은 곧 과거에도 전력위기 대응 매뉴얼 상 가장 심각한 ‘레드’(심각) 단계에 들어간 적이 적지않게 있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면서 여야 의원들을 놀라게 했다.

또한 전력거래소가 그동안에도 대정전(total blackout) 직전까지 가는 위기를 숨기고 매뉴얼을 어기면서 지내왔다는 점을 방증하는 대목이라는 점에서 시민 불안을 증폭시켰다.

사실 예비전력이 100만㎾ 미만으로 떨어졌다면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그런데 그런 일이 이전에도 몇 차례 있었다는 식으로 말했으니 놀랍고 불안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다수 언론이 염 이사장의 ‘충격적인 발언’을 주요 기사로 크게 취급했다.

100만㎾ 미만의 심각 단계에서는 이번 정전사태 때 시행됐던 것처럼 순환정전(단전), 즉 제한 송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전문용어로 긴급 부하조정이다. 대정전이라는 대재앙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자칫 어설픈 대응으로 시간을 흘려 보내다가 전력 공급을 수요에 못 맞췄다가는 바로 전국을 어둠바다로 만들며 대한민국을 멈춰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염 이사장은 이 발언으로 국민 불안을 가중하고 언론의 관련소재 대서특필을 방치하고는 20일 새벽 1시58분 전력거래소 홍보담당을 통해 슬그머니 이메일 해명자료를 보내왔다.

자료는 “전력거래소가 설립된 2001년 4월 이후 지난 15일을 제외하고는 (2시간 이내에 가동할 수 있는) 운영예비전력이 100만kW 이하인 상황이 없었고, 따라서 ‘심각’ 단계가 된 적이 없으며, (공급능력에서 실제수요를 뺀) 예비력 기준으로 400만kW 이하로 내려간 적이 없었다”고 적었다.

염 이사장의 국감발언을 정면으로 뒤집는 내용이다.

염 이사장이 결정적인 발언을 이처럼 어이없는 방식으로 수정하고 나서자, 가뜩이나 ‘전력거래소 책임론’을 앞세우고 있는 지경부 내부에서는 그의 처신이 가볍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또 지식경제부 관리 출신으로서 산하 기관에 취업한 이른바 ‘낙하산’ 인사로 지적을 받은 염 이사장이 자신의 업무에 관해 중차대한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지도 못한 채 국정감사라는 공식석상에서 발언했다는 점에서 스스로 ‘전문성 결여’를 만천하에 드러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