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 올 12兆 만기… 중견건설사 ‘비상’

PF대출 올 12兆 만기… 중견건설사 ‘비상’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축은행發 구조조정 건설업계 강타 예고

저축은행에 또다시 구조조정의 바람이 몰아치면서 저축은행 대출 비중이 높은 건설사들이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 기지개를 켠 부동산시장이 저축은행발 악재로 휘청이지 않을까 건설업계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앞서 금융권은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은 상환 압박을 가중시켜 중견 건설사의 구조조정을 촉진시킬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이미지 확대
19일 건설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영업정지의 가장 큰 원인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상업용부동산 담보대출 부실이 지목받고 있다. 이번 사태는 곧바로 중견 건설사 외에 PF 부담과 차입금이 높은 일부 대형 건설사로 확산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가 PF사업 정리에 속도를 내면서 연대보증을 선 건설사에 부실이 전가되거나 PF 만기연장 거부로 유동성 위기를 겪을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PF를 인위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PF대출 보증을 선 건설사의 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PF부담 큰 대형사도 부실 우려

그동안 저축은행들은 높은 금리의 유혹에 빠져 막대한 자금을 부동산 프로젝트에 쏟아부었다. 하지만 사업성이 떨어지면서 중도에 멈춘 프로젝트가 속출했다. 국내 금융권은 시공사(건설사)에 일감을 주면서 보증을 서도록 요구해 왔고, 프로젝트가 망가지면 건설사까지 함께 부실해지는 구조를 만들었다. 사업이 실패했을 때 재무적 투자자는 지분을 팔 수 있는 권리가 있는 반면 건설사는 최종 부담을 떠안는 구조다.

금융권은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PF대출을 25조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중 저축은행의 PF대출 잔액은 12조 2000억원 선이다. 저축은행권의 부실이 그대로 반영되면 중견 건설사의 경우 부채비율이 214%(지난해 말 기준)에서 286% 수준까지 급상승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워크아웃 기업들의 부채비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PF가 저축은행 부실의 주범으로 지목받으면서 연말까지 이를 털어내자는 움직임이 뚜렷해졌다.”면서 “대형 건설사라도 PF부담이 높은 곳은 상환 압박과 만기 거부로 동반 부실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태 여파 제1금융권 확산 막아야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경영진단이 시작되면서 중견 건설사들은 이미 유동성에 비상이 걸렸다. 그나마 부동산시장에 조금씩 유입되던 돈줄이 완전히 막혔다는 게 건설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예컨대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중견 건설사들은 건설자금을 대부분 대출로 충당하는데 분양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이미 PF 대출이 막혔다.

저축은행이 고삐를 죄자 시중 은행까지 앞다퉈 재정건전성을 이유로 회수에 나서고 있다.

건설업계에선 건설금융 리스크를 건설사에 전가하는 구조에 대해 불만을 토로한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투자자로부터 지급보증을 독촉받는 등 건설금융의 문제점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건설업계는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통해 상환 독촉과 만기 연장 거부라는 이중고에 빠진 모습”이라고 전했다.

배상근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도 “고수익 단기 상품과 서민 금융에 집중했어야 할 저축은행이 PF 시장에 뛰어든 것 자체가 잘못됐다.”면서 “사태의 여파가 시중은행 등 제1금융권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오상도·이두걸기자 sdoh@seoul.co.kr

[용어클릭]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 담보나 신용이 아닌 프로젝트를 근거로 대출받은 돈으로 진행하는 사업. 담보 없이 적은 자본으로 위험을 분담하며 사업을 추진한다. 돈을 빌려주는 은행은 장기간 고금리로 자금을 운용한다. 대상은 아파트 등 건축물이나 고속도로, 댐 등 다양하다. 최근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서 공사가 멈추고 분양 실패가 잇따르고 있다.

2011-09-20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