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연체 상반기 증가세 반전

가계대출 연체 상반기 증가세 반전

입력 2011-09-19 00:00
업데이트 2011-09-19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개월새 8만명 늘어… 금리상승·전세·생활비 부담 탓

2009년 이후 줄어들던 은행권의 가계 대출 연체율이 상반기 동안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됐다. 신용카드사의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연체율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내년 ‘연체 대란’도 우려된다.

18일 금융권과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91만 9570명이던 금융기관 연체자 수는 올해 6월 109만 8878명으로 19.5% 늘었다. 2008년 말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고 이듬해부터 지속적으로 줄어들던 연체율이 증가세로 반전된 것이다. 2008년 말 121만 4731명이던 연체자 수는 2009년 103만 2630명으로 1년 동안 17만명 가까이 줄었고 지난해에는 13만명 정도 줄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소득은 제자리인데 지난해 7월부터 기준금리가 5차례(1.25% 포인트) 올랐고 전셋값과 생활비가 치솟으면서 생활자금 마련을 위해 대출을 늘린 사람도 많다.”고 분석했다. 이어 “카드대란 당시인 2000년대 초반에는 유흥비 등으로 흥청망청 써서 연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은 전셋값이나 생활비처럼 줄이기 어려운 지출로 인해 연체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중 은행의 재무 건전성도 악화되고 있다. 우리은행의 가계 대출 연체율은 2009년 3월 말 0.60%를 기록한 뒤 지난해 말 0.47%까지 낮아졌지만 올해 7월 말 0.77%까지 올랐다. 7월 말 현재 하나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0.88%를 기록했다. 국민은행의 6월 말 현재 가계 대출 연체율은 0.96%까지 치솟았다.

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신용카드사의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연체율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 이성헌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금서비스 연체율은 6월 말 현재 2.5%로 지난해 말(2.3%)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6월 현재 6개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연체율도 2.3%로 지난해 말(2.0%)보다 0.3% 포인트 올랐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대출 억제책이 맞물려 연체율이 높아지는 결과가 빚어졌다.”면서 “경기 둔화가 계속되면 연체율이 더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당국의 세심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9-19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