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무역흑자 27억4천600만달러

5월 무역흑자 27억4천600만달러

입력 2011-06-01 00:00
업데이트 2011-06-01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출 480억900만달러, 수입 452억6천200만달러

지난달 일평균 수출액이 21억8천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지식경제부는 5월 수출액은 480억900만달러로 작년 동기와 비교해 23.5% 증가했지만 4월(491억5천300만달러)보다는 줄었다고 1일 밝혔다.

수입은 452억6천200만달러로 29.9% 증가했으며, 무역수지는 27억4천6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일평균 수출액은 4월 20억9천만달러에서 다시 증가해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수출은 석유제품과 선박 등 주요품목에서 증가폭이 컸다.

품목별로 석유제품은 87.0%, 무선통신기기는 33.9% 늘어났으며 석유화학 26.7%, 자동차 26.5%, 선박 26.0%, 철강 23.7%, 자동차부품 22.5% 등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반도체는 5.3% 감소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출단가가 올랐고 선박은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선박 인도가 늘어 수출이 호조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자동차는 유성기업 파업의 조속한 마무리에도 불구하고 수출에 다소 영향을 줬지만 이번 달에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4월 자동차 수출 증가율은 37.9%였다.

지역별로 보면 아세안 지역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41.8% 증가했고 지진 피해를 복구 중인 일본은 25.6% 늘었으며 이 외에 미국 22.3%, 중국 16.5%, EU 9.6% 등 순이었다.

4월 대(對)일본 수출 증가율이 70.1%였다는 점에서 일본 수출 증가세는 다소 둔화했다.

수입도 유가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원자재 분야에서 수입액이 늘었다.

석탄은 65.5%, 원유는 37.4%, 가스는 27.4%의 증가세를 보였다.

소비재는 22.8% 수입이 증가했지만 자본재는 16.8% 증가율을 기록했다.

6월은 유가 상승세로 수입액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수출 상승세도 계속돼 무역흑자 추세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