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동기보다 8.4% 늘어
우리나라 가계빚이 올 1분기 800조원을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 경제연구기관들은 이 같은 천문학적인 가계빚이 이미 소비를 위축시키는 단계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소비 위축은 금리상승기를 맞아 가계의 채무 부담과 연체율을 증가시켜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가계빚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저축은행 사태와 비교할 수 없는 ‘가계부채발(發) 금융위기’가 올 수도 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1년 1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가계 대출과 자동차 할부 등 외상 구매를 뜻하는 판매신용을 합한 가계빚 잔액이 3월 말 현재 801조 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795조 4000억원) 대비 6조원가량 늘어난 규모다.
연초 보너스 지급 등 계절적 요인으로 가계빚 증가폭은 소폭이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8.4% 증가한 것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가계빚이 실질적으로 이보다 훨씬 많으며,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데 있다. 치킨집 등 소규모 자영업자와 민간비영리단체의 부채까지 포함하는 가계빚(자금순환통계의 개인부채)은 지난해 말 937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현재는 1000조원에 근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인소득 중 소비와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처분소득으로 빚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도 지난해 146%를 기록했다.
●연체율 증가 → 금융기관 부실
영국(2009년 160%), 호주(155%), 스페인(143%) 등과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리나라가 더 심각한 것은 이 비율이 다른 나라와 달리 꺾이지 않고 계속 오르는 데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가계부채의 잠재적 폭발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 것도 이런 점을 감안한 것이다. 가계빚에 짓눌린 소비 위축은 ‘채무부담 상승→연체율 증가→담보가치 하락→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지는 가계부채발(發) 금융위기의 사실상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은행 측은 “가계부채가 소비와 성장 등 실물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계에 들어섰다.”면서 “서둘러 가계부채의 축소 조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소비 위축은 금리상승기를 맞아 가계의 채무 부담과 연체율을 증가시켜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가계빚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저축은행 사태와 비교할 수 없는 ‘가계부채발(發) 금융위기’가 올 수도 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1년 1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가계 대출과 자동차 할부 등 외상 구매를 뜻하는 판매신용을 합한 가계빚 잔액이 3월 말 현재 801조 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795조 4000억원) 대비 6조원가량 늘어난 규모다.
연초 보너스 지급 등 계절적 요인으로 가계빚 증가폭은 소폭이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8.4% 증가한 것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가계빚이 실질적으로 이보다 훨씬 많으며,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데 있다. 치킨집 등 소규모 자영업자와 민간비영리단체의 부채까지 포함하는 가계빚(자금순환통계의 개인부채)은 지난해 말 937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현재는 1000조원에 근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인소득 중 소비와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처분소득으로 빚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도 지난해 146%를 기록했다.
●연체율 증가 → 금융기관 부실
영국(2009년 160%), 호주(155%), 스페인(143%) 등과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리나라가 더 심각한 것은 이 비율이 다른 나라와 달리 꺾이지 않고 계속 오르는 데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가계부채의 잠재적 폭발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 것도 이런 점을 감안한 것이다. 가계빚에 짓눌린 소비 위축은 ‘채무부담 상승→연체율 증가→담보가치 하락→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지는 가계부채발(發) 금융위기의 사실상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은행 측은 “가계부채가 소비와 성장 등 실물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계에 들어섰다.”면서 “서둘러 가계부채의 축소 조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5-26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