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공사계약제 등 새달 활성화 대책, 건설업계 활로 찾나

PF대출·공사계약제 등 새달 활성화 대책, 건설업계 활로 찾나

입력 2011-04-28 00:00
업데이트 2011-04-28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새달 초 고사위기에 몰린 건설업계를 위해 지원안을 내놓는다. 지원안에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건설금융 대책은 물론 건설공사 계약제와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안 등이 망라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이를 위해 27일 서울 논현동 임피리얼 팰리스호텔에서 건설사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최삼규(이화공영 회장) 대한건설협회장 외에 김중겸 현대건설 사장, 대우건설 서종욱 사장, GS건설 허명수 사장, 대림산업 김종인 부회장, 포스코건설 정동화 사장, 롯데건설 박창규 사장, 경남기업 김호영 사장, 풍림산업 이필승 사장 등 18개 종합건설사 대표가 참석했다.

건설사 대표들은 “PF대출 조기 회수 등으로 촉발된 건설금융시장 불안을 안정시키고, 주택경기 회복을 위해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삼규 건설협회장은 “건설사 부실의 책임은 해당 기업에 있지만 건설사 문제로만 방치하기에는 가혹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최근 건설업계의 어려움의 근원은 제2금융권의 무차별적인 PF대출 조기 회수에 있다고 말했다. 또 프라이머리-부채담보부증권(P-CBO) 조기 발행 등 유동성 지원 대책을 요청했다. 장기적으로 금융권의 지급보증 요구 관행을 근절해 달라는 부탁도 잊지 않았다. 국토부는 이날 업계가 건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5월 초 건설업계에 대한 지원 방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4-28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