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전망 수정계획 없다”

“한국경제 전망 수정계획 없다”

입력 2011-04-21 00:00
업데이트 2011-04-21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창용 ADB 수석 이코노미스트에게 들어본 2011 亞경제 전망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기획조정단장을 지낸 이창용(51)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20일 내한해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가졌다. 최근 ADB가 발표한 2011년 아시아 경제전망을 놓고 진지한 대화가 오갔다. 지난 3월 ADB로 발령받은 그는 “G20 정상회의의 가장 큰 수혜자가 바로 나”라면서 “G20 정상회의 개최로 전 세계에서 한국이 갖는 위상은 크게 높아졌으며, 올해도 한국이 지난해 G20에서와 같이 어떻게 깊은 인상을 주느냐가 과제”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한국에 대한 경제전망은.

-ADB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4.6%, 물가상승률을 3.5%로 전망했다. 유가가 지난해보다 평균 30% 올라간다는 가정 아래 물가 전망치를 내놨는데 현재까지는 전망치를 수정할 계획이 없다. ‘리비아 사태’가 얼마나 더 갈지 알 수 없는 상황이지만 유가 상황이 바뀌면 수정할 수도 있다.

→일본 대지진이 한국에 영향을 미칠까. 삼성전자 주가는 떨어졌는데.

-삼성전자 주가가 일본 대지진 때문에 떨어졌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번 사태는 분명히 일본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줄 것이다. 하지만 다른 나라의 국내총생산(GDP)에까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공급 측면에 충격이 와서 기업이 어려울 수는 있지만, 우리나라 GDP에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다. 예를 들어 A기업이 그 나라의 모든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고, 그만큼 대체가 되기 때문이다.

중국에 갔을 때 큰 기업들이 일본 대지진 사태 때문에 조심하고 있다는 얘기는 했지만, 생산량이 엄청 떨어졌다고는 하지 않았다. 대지진이 처음 발생했을 당시에는 원자력발전소 안전이 문제였다면, 지금은 그로 인한 전력 피해가 얼마나 될 거냐가 중요하다.

→일본 대지진과 리비아 사태 등 외부 충격이 많은데, 환율 조정이 바람직한가.

-중국의 12차 5개년 개발계획을 보면 명확하게 성장 속도를 희생하더라도 균형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소득 분배에 치중하고 있다. 물가를 잡기 위해 환율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이는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본다. 우리나라도 어느 한쪽에 치중하는 것보다는 환율도 병행해 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

→국내와 ADB에서 근무할 때의 차이점은.

-국내에 있을 때는 아시아에 대해 우리나라 아니면 중국을 얘기하는 게 다였다. 하지만 밖에 나가서 보니 아시아에 다양한 나라가 많다는 것을 알았다. 각 나라의 특징들을 살펴보는 것은 굉장히 보람 있는 일이다. 중국에 비해 인도를 몰랐고, 인도 주변의 많은 나라들이나 카자흐스탄 등에 대해 잘 몰랐다. 기업인들은 이런 나라들에 많이 진출하고 있다. 정책 실무자들은 이런 나라들에 대해 너무 모르고 있다. 아시아는 굉장히 빨리 변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에 대한 자원외교만 생각할 게 아니라 실제 기업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G20 정상회의 끝난 뒤 중국을 지켜봐야 한다고 했는데.

-전 세계에서 아시아가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더 많이 느끼고 있다. 밖에서 아시아에 대한 수요가 많다. 1980년대 미국에 갔을 때 소니가 전미를 휩쓸고 서점이 모두 일본 서적으로 도배됐던 기억이 난다. 지금 일본이 가라앉으면서 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줄었다고 본다. 하지만 밖에 나가면 중국뿐 아니라 아시아에 대한 수요가 굉장히 많다.

반면 아시아의 공통된 목소리, 즉 아시아만의 견해가 있는지 의문이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물품은 수출하지만, 지적인 측면을 수출하지는 못하고 있다. G20 회의에는 유럽과 미국 견해는 있는데, 아시아의 공통된 견해는 없는 것 같다.

→G20 정상회의를 국격외교 진전의 기회라고 했는데.

-G20의 가장 큰 수혜자가 나다. 지금은 전 세계 어느 회의에 가도 내가 발표하는 것의 반은 ADB, 반은 G20 얘기다. 우리나라는 G20 정상회의 이후 위상이 상당히 높아졌다. 또 한국의 의견에 대한 수요가 굉장히 많다. 지난해만큼 노력해서 다른 나라들에 깊은 인상을 주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다.

글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 이창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960년 충남 논산 출생 ▲서울대 경제학과,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 자문위원 ▲17대 대통령직인수위 경제분과 위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차관급) ▲주요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기획조정단장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 이코노미스트
2011-04-21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