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삼부토건 남의 일 아니다”

건설업계 “삼부토건 남의 일 아니다”

입력 2011-04-15 00:00
업데이트 2011-04-1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부토건의 기업회생 신청(옛 법정관리)으로 인한 불똥이 건설업계 전반으로 튀고 있다.

14일 금융권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삼부토건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만기 연장 조건으로 서울 강남의 르네상스 서울호텔을 담보로 제공할 의사를 밝히고 대주단과 마라톤협상을 벌이고 있다.

양측의 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되자 앞서 지난 2∼3월에 4000억원대 PF 대출의 만기를 담보 없이 연장해준 또 다른 대주단이 대출 상환을 요구해 협상에 차질을 빚고 있다.

삼부토건 관계자는 “이번에 대출 만기를 연장하면서 대주단이 요구한 대로 호텔을 담보로 제공할 의사가 있으나 다른 대주단이 앞서 만기를 연장해준 PF 대출을 갚으라고 요구해 난감하다.”고 말했다.

또 대주단과의 협상에서 실패해 삼부토건의 회생절차 개시 결정이 내려지면 다른 건설사도 연쇄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특히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삼부토건과 한화건설이 절반씩 공동 보증한 5500억원 규모 김포 풍무동사업 PF 대출의 모든 책임을 한화건설이 모든 책임을 떠안게 된다.

이에 대해 한화건설은 “삼부토건의 회생절차가 개시되고 대주단이 삼부토건의 시공권을 박탈하면 사업을 단독으로 추진하겠다.”면서 “삼부토건과 절반씩 공동 보증한 5500억원 규모 풍무동사업 PF 대출에 대해서도 100% 연대보증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또 전날 채권금융회사들과 논의한 결과 ”대주단이 삼부토건의 회생절차 개시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풍무동사업 PF 대출에 대해 금리 등의 약정을 변경하지 않고 계속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가겠다.”고 한화건설은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번 삼부토건 법정관리 신청으로 PF나 기업어음(CP), SK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융통하려던 건설사들도 타격을 받고 있다. CP 발행을 추진하던 C사 관계자는 “삼부토건 법정관리 신청 이후 금융권 분위기가 바뀌면서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4-15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