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삼성전자서 초과이익공유제 역설

정운찬, 삼성전자서 초과이익공유제 역설

입력 2011-04-14 00:00
업데이트 2011-04-1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기업 이익 동반성장에 자율로 쓰는 것 삼성이 선두에…”

홀로 적진이나 다름없던 오(吳)나라에 찾아가 손권에게 동맹을 청하던 촉(蜀)의 제갈량의 심정이 이랬을까.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 초과이익공유제를 놓고 갈등을 빚었던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삼성 안방에 직접 찾아가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초과이익공유제를 다시 한번 역설했다.

정 위원장은 13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열린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협약식’에 참석해 “지난해 상장법인들이 전년보다 73% 늘어난 55조 9000억원의 순이익을 냈지만 정작 고용의 83%를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이자 갚고 임금 주고 나면 남는 게 없다고 토로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대기업과 협력사 간 계약관계가 ‘을사(乙死)조약’으로 불린다며 불공정 거래 관행을 비난했다.

대기업이 ‘갑’이라면 협력사는 ‘을’이 되는데, 계약내용이 너무 불공정하다 보니 ‘을(협력사)이 죽는 계약’이라는 것이다.

경제계에서 초과이익공유제를 포퓰리즘이라고 비난하는 것에 대해서도 부당함을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포퓰리즘은 복지 메뉴를 찾지 못해 안달난 일부 정치집단에 붙여줘야 하는 것”이라면서 “시장경제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찾고 양극화 완화를 이끌어 내려는 동반성장에 붙일 용어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상당한 이익을 낸 경우 대기업들이 임직원 인센티브 외에 협력사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자금을) 비축해 두고 임직원 고용 안정 및 교육, 기술 개발 등 협력사의 성장을 위해 자율적으로 쓰게 하자는 게 초과이익공유제의 핵심”이라면서 “동반성장위는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실적을 점검·평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정 위원장은 “현재는 변화의 출발점에 서 있으며 동반성장은 성숙한 경제로 한 단계 더 나아가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며 “삼성이 그 선두에 서주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초과이익공유제로 마찰을 빚고 있는 삼성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초과이익공유제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점을 각인시켜 세간의 주목을 끌면서 동시에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려는 의도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초과이익공유제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던 이건희 회장은 이날 행사에 참석하지 않아 정 위원장과의 만남은 이뤄지지 않았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4-14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