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수장들 ‘비장한 잔칫날’

은행 수장들 ‘비장한 잔칫날’

입력 2011-04-02 00:00
업데이트 2011-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중은행의 ‘영업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이 올랐다. 최근 과당경쟁에 대한 금융당국의 경고를 의식한 듯 리스크 관리를 강조하면서도, 각 행장들은 저마다 영업점을 직접 찾아 현장 경쟁력 제고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은 1일 지주사 창립 10주년 기념식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은행 내 카드사업부를 상반기 말까지 분사시켜 전업카드사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 통신사와의 제휴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보험 등 다른 비은행부문 강화를 위해 인수·합병(M&A) 방안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서진원 신한은행장의 경우 자산관리·우량자산·퇴직연금 등 3대 시장에서 1등 지위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옛 조흥은행과의 통합 5주년 기념식에서 서 행장은 “혁신 DNA를 되살려 스마트금융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기념식 이후에는 임직원들이 남대문에서 시민들에게 허브 화분과 음료를 나눠주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평소부터 영업점을 찾아 현장경영을 중시해 온 민병덕 국민은행장은 “연체율이 기대만큼 개선되지 않았지만, 우량자산 위주로 포트폴리오가 재편되고 경영지표도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1분기 실적을 자평했다. 이어 “영업점 마케팅 인력 보강을 위해 본점 직원을 현장에 배치했고, 임원 회의도 간소화했다.”고 소개했다.

김정태 하나은행장도 이날 정례회의를 통해 “은행들의 경쟁이 치열해져 금리만으로 경쟁력을 내세우기에 한계에 와 있다.”며 “나도 다음 주부터 지방을 시작으로 고객 속으로 직접 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김 행장은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지분 인수는 잘될 것이지만, 이와 상관없이 하나은행의 길을 가야 한다.”면서 “고객 수를 획기적으로 늘려 은행의 수익기반을 확보하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강만수 산은지주 회장도 이날 창립 57주년 행사에서 “한국금융의 대표 브랜드, 글로벌 종합금융그룹을 향해 산은지주가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금융을 발판으로 투자금융·국제금융·프로젝트파이낸스·구조조정업무 등 강점을 세계적인 레벨로 올려 놓아야 한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4-02 1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